사이드 프로젝트 유형 및 특징

2024. 2. 23. 08:19개발자 소개글/작은 팁

728x90
반응형
SMALL

개발 숙련도를 올리기 위해 돈없이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곤 한다 또한 사이드 프로젝트도 유형별로 존재하기도 하고 그의 대한 목적 또한 다르기도 한다.

따라서 본인이 맞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고르기 위해 어떤 유형이 존재하는지의 대해 글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이드 프로젝트의 유형

1. 스터디형
2. 포트폴리오 제작형(토이 프로젝트)
3. 예비 스타트업 프로젝트



대표적으로 이렇게 꼽는다. 따라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의 대해서도 역시나 다뤄보고자 한다.


1. 스터디형

  스터디형은 본인이 무엇을 공부하고 싶은지의 목적을 정하고 어디까지 공부를 하여 취준생끼리 및 현업 개발자가 주도하여 취업생에게 재능 기부 하는 형태로 구성 할 수 있음을 알린다.
  여기서 본인이 Java 기반으로 Spring을 더 공부하고 싶을 경우 Spring을 대해 공부하고 끝내거나 그 이후에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여 포트폴리오를 만들기도 한다.
  현업 개발자가 주도하에 진행을 한다면 잘하면 취업의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포트폴리오 형(토이 프로젝트)

  본인이 취업을 준비하거나 취업이후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포트폴리오를 하나라도 만들기 위해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딱 여기가 사이드 프로젝트라고 불릴 수 있다.
개발 숙련도를 올리는 과정과 프로젝트 하나라도 건지기 위한 곳으로 단순히 아웃풋만 내고 끝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또한 취업 준비생들 끼리 진행할 경우 하차 인원이 많아지고 빠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 취업 준비 이후에도 하차하지 않고 계속 진행할 의향이 있는 사람인지 확인하며 합류하는 것을 추천한다.


3. 예비 스타트업 프로젝트

1번, 2번 보다 규모가 큰 프로젝트, 단순히 사이드프로젝트로 끝나는 것이 아닌 실제 현업처럼 진행해야 하는 특성을 띄고 있다. 따라서 현업 경험이 전무한 사람끼리 모인 맴버로 진행한 경우 퀄리티가 절때 나올 수가 없다. 결국 2번에서 머물게 될 것이다.
  애초에 스타트업을 설립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퀄리티를 내기 위해서는 그냥 외주 맡기는게 더 낫지만 대개는 외주 맡길 돈이 없는 경우 사이드 프로젝트를 통해 인재를 찾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사이드 프로젝트로 끝나지 않기 때문에 스타트업 설립을 목적으로 하여 오래 해줄 사람이 전재로 해야 할 것이고, 대부분 직장이나 부업을 겸하는 사람이 대부분인 경우가 하는 곳이다.




따라서 본인에게 맞는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잘 생각해보고 결정하는 것을 추천드린다. 어느 정도 규모인지 파악을 해야하며 단순 프로젝트인지 장기 프로젝트인지 파악하여 진행 할 것을 추천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