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1)
-
[IT 용어] 1탄 - 현업에서 쓰는 용어
1. 애자일이란- 애자일은 문서 중심과 절차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신속과 고객 중심으로 피드백을 즉시 유동적으로 개발하는 방법론 2. 폭포수 모델- 소프트웨어 설계 기법 중 하나로 절차적으로 수행하며 "계획" -> "요구사항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운영/유지보수" 순으로 간다. 보통 SI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법 중 하나이다. 3. API 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통신을 위해 각 인터페이스간 연동하여 uri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Restful API를 이용하여 json 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4. Get과 Post 차이- Get은 url 쿼리의 값 그대로 보낼 때 사용하고 ..
2024.01.10 -
[Java] 기술 cs 1탄
1. Java의 역사 - 첫 시작은 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전기밥솥이나 등등 가전제품) - 현재는 데스크탑이 그래픽 디자인(Swing, Applet) 한물가고 Web 개발 및 안드로이드 App개발에 사용하고 있다. - 단, 글로벌 개발자들은 최근들어 Kotlin 으로 전환 추세이고, 우리나라에서 아직도 압도적으로 Java를 사용하는 추세다 2.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 객체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식별자에 의해 참조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값을 저장 할 변수와 작업을 수행 할 메소드를 서로 연관된 것들끼리 묶어서 만든 것, 객체가 붕어빵 틀이라고 하면 클래스는 붕어빵으로 비유, 유지보수와 재사용성을 위해 개발됨 3.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4가지 특성 - 추상화, 다형성, 캡슐화, 상속..
2024.01.10 -
프로그래밍 입문하는 방법이란?
나는 프로그래밍 입문을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본인이 프로그래밍을 정할 때 막막하신분들에게 나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하고자 한다. 필자는 IT 전공자였고 부트캠프도 경험하였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을 보유한 사람 중 한명으로써 회고록을 통해 작성을 하였다. 나의 첫 언어를 배우기 시작한건 C언어 부터 시작하여 자료구조랑 알고리즘까지 배우면서 였다. 그 당시 전공자였기도 하고 첫 시작은 C언어였다. 차근차근 C++과 Java 등을 배워왔고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까지 학습을 했던 사람 중 하나였다. 여기서 입문자에게 설명을 하자면 if문 부터 시작하여 반복문(for, while) 함수 표현식, 배열까지만 익히고 먼저 기본을 닦고 시작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 이후, 가독성 있고 변수명 또한 ..
2024.01.09 -
내가 생각하는 개발 포트폴리오란
이번에는 개발자로써 좋은 포트폴리오의 대해 회고의 글을 남기고자 한다. 서류전형부터 면접까지의 포트폴리오를 제작에 힘을 쓴 경험 부터 프리랜서로 커리어를 쌓으면서 지금까지 포트폴리오를 만든 과정을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을 해본다. 지금 이시기에 어려운 경기 불황속에서 왜 개발자를 하는 것일까? 답은 나에게 가진 전문성은 개발뿐이였다. 대학도 컴퓨터 학과 나오고 부트캠프까지 수료했던 사람이였고 개발에 대한 욕심이 많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나의 포트폴리오를 어필할만한거 만들기 위해 시작한 것이다. 다른 신입보다 더 나은 수준으로 시작하여 지금까지의 경지를 이르기까지 몇년간 걸쳐온 이력이 있었다. 아마 개발의 세계를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는 어떤 포트폴리오가 좋은지는 잘 모를거라 생각한다. 양산형 포트폴리오?..
2024.01.09 -
개발 실력을 경력으로만 따지면 안되는 이유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력을 경력으로만 따지는 안되는 이유에 대해서 말해보고자 한다. 면접, 회사 수행 등을 하면서 이력서를 꼼꼼히 보는 업체도 있고 이력서를 대충 보는데도 있고, 이력서랑 포트폴리오만으로 판단하는 업체가 있었다. 아래와 같이 작성하고자 한다. 왜 실력을 경력으로만 따지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경력 쌓는 동안 개발의 대한 일을 안하고 들어올 수도 있다. 2. 서류의 내용 중 실제 개발을 한 것이 아닐 수도 있으니 실무 투입 시 신입 보다 못하는 개발자가 들어 올 수도 있다. 3. 반면에 진짜 실력 있는 사람을 놓치기가 쉽다. 4. 개발 실력은 없으면서 정치 실력이 높은 사람이 들어올 확률이 있다. 5. 개발자 입장에서는 단가 및 연봉 깍을려고 하는 수작으로 느껴진다. 6. 그 경력이..
2024.01.07 -
2024년 개발자 취업의 현실과 살아나는 방법
해가 바뀌면서 올해에도 경기 침체가 유지될 것이라고 예고한다. 경기 침체로 인해 회사들의 영향이 커지고 투자금액은 감소되면서 돈을 덜 나가는 방향으로 운영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 다가올 것이다. 그 중 아낄 수 있는 것 중 하나인 인건비 줄이기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대규모 정리 해고가 많이 일어나기도 하고 심지어 검증된 경력직만 뽑는게 현실이다. 이것도 예비 개발자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 크다. 현재 개발자가 넘쳐나는 상황으로 취업 경쟁률이 한개의 업체에서도 600:1, 많게는 1200:1로 넘쳐흐른다. 따라서 나는 지금까지 개발자로 자리 잡았다면 시대가 도와준거라고 생각한다. 시대가 도와주지 않았으면 지금 시기에 매우 고생했을 것이다. 지금은 내가 듣기로는 많은 개발자들 사이에서 SI..
20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