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1)
-
지금까지 개발자로 살아오고, 앞으로 2024년 목표
그 동안 나는 꾸준히 Github와 재능기부 프로젝트, 및 고객사 프로젝트를 통해 잘하지도 못하지도 않은 개발자가 되어 있었다. 사실 그 과정이 매우 험난했다. 좋지 않은 업체에 들어가서 안 좋은 경험도 겪었었고, 한 때 si 파견을 다니면서 개발 업무를 맡으며 퍼포먼스를 낼 수 없는 시절이 있었다. 나는 정말 힘들었고 큰 트라우마를 겪은 적도 있었고 지병 생기기 일보 직전까지 갔었다. 나는 그동안 트라우마를 겪었던 이후 이런 생각을 하면서 더더욱 독하게 달려온 적이 있었다. 남들보다 못하면 어쩌지? 다른 사람들에게 뒤처지기는 정말 싫고 오로지 개발 숙련도를 위해서만 장기간 하루도 쉬지 않고 매일 개발하는 것이 늘 일상이 되었다. 어쩌면 지금 까지 일 중독처럼 지내온 것같이 생각이 든다. 이렇게 개발 커..
2024.02.29 -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ui 템플릿 활용한 개발의 대한 특징과 고려사항 + 개인적인 생각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발 비용을 줄이기 위해 프론트엔드 개발 시 UI 퍼블리싱 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템플릿 활용의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이 템플릿이 잘 되어 있습니다. ==> 템플릿 사이트 중 하나 : creative-tim https://demos.creative-tim.com/material-dashboard-pro-material-ui-v4/?_ga=2.260116749.1875566178.1709123070-703334713.1709123070#/admin/dashboard Material Dashboard 2 PRO React by Creative Timwww.creative-tim.com 1. 템플릿 특징- 단돈 몇푼으로 구매하여 본인이 원하는 템플릿을 사용 할 수 있..
2024.02.28 -
[IT 기술 관련] ISO/IEC 의 대해
1. 품질 요구사항? - 소프트웨어에 대한 요구사항이 사용자의 입장에서 얼마나 충족하는가를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특성의 총체 - 소프트웨어 품질 관련 표준 종류 -> ISO/IEC (9126) / ISO/IEC 25010 / ISO/IEC 12119 / ISO/IEC 14598 2. ISO/IEC 9126 - 소프트웨어의 품질 특성과 평가를 위한 국제 표준 3. ISO/IEC 25010 - ISO/IEC 9126 에 호환성과 보안성을 강화하여 개정한 소트프웨어 제품에 대한 국제 표준 4. ISO/IEC 12119 -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일반적인 제품 품질 요구사항 및 테스트를 위한 국제 표준 5. ISO/IEC 14598 - 소프트웨어 품질의 측정과 평가에 필요 절차를 규정한 표준 6. ISO/IEC 의 ..
2024.02.28 -
[프론트엔드] 7. UI/UX의 대한 개념 및 종류, 화면 설계도
1. UI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 - UI 세가지 분야 1) 정보 제공과 전달을 위한 물리적 제어에 관한 분야 2) 콘텐츠의 상세적인 표현과 전체적인 구성에 관한 분야 3)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에 관한 분야 - 특징 : 사용성, 접근성, 편의성 중시 - 예: CLI, GUI 2. UX (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 사용자가 시스템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인 경험 - UI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이나 감정을 중시 3. UI 종류 - CLI(Command Line Interface) : 명령과 출력이 테스트 형태로 이..
2024.02.28 -
포트폴리오 어느것을 올려보는게 좋을까?
이번 포스팅에서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올려야 할지의 대해 나의 경험을 토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기획, 디자이너, 개발자 등 취업시 포트폴리오는 거의 필수로 여기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신입뿐만 아니라 경력자도 필수 사항 중 하나이다. 신입 같은 경우는 포트폴리오라곤 대학 졸업 프로젝트나 부트캠프내에서 진행했던 프로젝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포트폴리오는 누구나 하는 포트폴리오는 개인적으로 받고 싶지 않다. 본인이 그 프로젝트를 통해 서비스 배포를 직접 하여 운영중이 아닌 이상은 다 거기서 거기다. 또한 소스코드도 포트폴리오에 어필할 만한 소스코드도 반드시 필수 사항이다. 취업을 위한 포트폴리오가 아니더라도 사이드 프로젝트나 재능 기부 역시 채용 프로세스 비슷하게 신입/경력 포트폴리오를 보는 경..
2024.02.24 -
사이드 프로젝트 유형 및 특징
개발 숙련도를 올리기 위해 돈없이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곤 한다 또한 사이드 프로젝트도 유형별로 존재하기도 하고 그의 대한 목적 또한 다르기도 한다. 따라서 본인이 맞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고르기 위해 어떤 유형이 존재하는지의 대해 글을 남겨보고자 한다. 사이드 프로젝트의 유형 1. 스터디형 2. 포트폴리오 제작형(토이 프로젝트) 3. 예비 스타트업 프로젝트 대표적으로 이렇게 꼽는다. 따라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의 대해서도 역시나 다뤄보고자 한다. 1. 스터디형 스터디형은 본인이 무엇을 공부하고 싶은지의 목적을 정하고 어디까지 공부를 하여 취준생끼리 및 현업 개발자가 주도하여 취업생에게 재능 기부 하는 형태로 구성 할 수 있음을 알린다. 여기서 본인이 Java 기반으로 Spring을 더 공부하고 싶..
2024.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