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12)
-
[프론트엔드] cs 지식2 - 프론트엔드 기초
1. 프론트엔드 (Front-end) => 웹 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가 보고 상호작용하는 부분을 만들고 디자인하는 과정입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HTML, CSS, Javascript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줄 View단을 담당합니다. 2.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페이지의 구조를 정의하는 언어. 3. CSS (Cascading Style Sheets) => 스타일링과 레이아웃을 담당. 4. JavaScript => 동적인 요소를 추가하면서 웹사이트를 인터랙티브하게 만듬 5.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개념과 차이점 => React, Angular, Vue.js 등의 JavaScript 프레임워크 및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주면서 더 복잡하고 고급 기능 구현이 가..
2023.12.03 -
[React CS] 디자인 패턴 2 - Custom hooks 패턴
안녕하세요. 디자인 패턴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지난시간에는 Presentation & Container 패턴을 알아가면서 예제로 적용 시켰습니다. 하지만 이 패턴은 1:1 = 로직 : 뷰 적용 방식으로 사용이 되는 형태로 구성 되어져 있으며 1개의 로직에서 여러개의 뷰를 활용하여 사용 하고 싶을 때 대비하여 적용을 시켜보고자 합니다. 이 것을 적용 시키는 패턴은 Custom Hooks 패턴이며, Custom Hooks 패턴의 대해서 대해서 알아봅니다. 먼저 리마인드로, Presentation & Container 패턴을 적용 전과 적용 후의 대해서 구조를 정리해봅니다. Presiontation Component - UI 컴포넌트만 구성, Conatiner Component - 로직 부분만 구성 이..
2023.11.13 -
[React CS] 디자인 패턴 1 - Presentation&Container 패턴
안녕하세요. 디자인 패턴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이번 시간에는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는 패턴 중 하나인 Presentation & Container 패턴의 대해서 알아봅니다. 보통 처음 시간에 배울 때 구조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사용하는데, function 컴포넌트 () { /* 로직 구현 */ return ( UI 출력 ) } 이런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을 하게 되실겁니다. 하지만, 매번 사용하다가 조금 더 클린화 된 코드를 작성하고, 로직 컴포넌트와 View 컴포넌트로 나눠서 작성하는 것을 생각을 해낸 결과 디자인 패턴으로 쓰이는 Presentation & Container 디자인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 방법으로 활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Presentation & Co..
2023.11.07 -
[5] 네트워크 cs - IP 주소 관련 용어 및 개념
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와 MAC 주소의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 이를, 논리적 주소 --> 물리적 주소로 변경시킨다. (IP 주소 --> MAC 주소) 2.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의 역할의 역순으로, 물리적 주소에서 논리적 주소로 변환 시키는 프로토콜 (MAC 주소 --> IP 주소 변경) 3. 브로드캐스트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 방식 4. 유니케스트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1 데이터 전송 방식 5. Hop by Hop 통신 -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 - 통신 장치에 있는 라우팅 테이..
2023.07.23 -
[3] 네트워크 cs - TCP/IP 4계층의 관련된 용어
1. FTP - TCP/IP 4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 장치와 장치 간의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통신 프로토콜 - 실무에서는 FTP를 이용하여 Window 서버와 Linux 서버와 통신을 하여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있음 - 이때는 보안이 가득한 SFTP를 이용하여 전송을 해온다. 2. SSH - TCP/IP 4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 보안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암호화 네트워크 프로토콜 - 실무에서 Linux 연결 시 SSH를 이용하여 보안 인증서가 일치 할 경우 네트워크 연결을 허용한다. 3. HTTP - TCP/IP 4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 World Wide Web을 위한 데이터 통신 기초, 웹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쓰는 프로토콜 - 웹 개발에서..
2023.07.23 -
[1] 네트워크 cs - 네트워크란?
1. 네트워크?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 ※ 노드 :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 ※ 링크 : 유선 or 무선을 의미 좋은 네트워크란? - 많은 처리량, 지연 시간 짧고 장애 빈도가 적음,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 2. 처리량(Throughput) 링크 내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처리량 = 트래픽) 단위 : bps(bits per second) - 초당 전송 or 수신되는 비트 수 영향 받는 요인 트래픽 :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짐) 네트워크 장치간 대역폭(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되는 에러 장치의 하드웨어 스팩 3. 지연시간(late..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