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8)
-
[면접 스토리1] 과천 소재 교육 플랫폼 회사 면접 후기 – 시간이 지나도 지워지지 않는 불쾌감
서론최근 들어 본인의 면접 경험을 공유하는 글이 많아졌습니다. 저 또한 2023년 하반기쯤,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한 교육 플랫폼 회사에서 면접을 본 적이 있습니다. 시간이 꽤 흘렀지만, 당시의 불쾌하고 황당했던 기억이 여전히 생생하기에, 이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합니다. 1. 회사 개요위치: 경기도 과천분야: 교육 도메인을 결합한 플랫폼 및 솔루션 (스마트 퍼블리싱, 교육 관리 시스템 강조)외부 이미지: 잡플래닛 등 후기 사이트에서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음내부 체감(면접 경험): 정반대의 분위기를 느꼈음 2. 면접 당시 느낀 문제점(1) 이력서 폼을 무시하는 태도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원티드(Wanted) 기반 이력서를 사용했습니다. (사진, 나이, 주소, 퇴사 사유 등 최소화) 그러나 면접관..
2024.12.16 -
[7] 보안 관련 용어 7탄
1. 스미싱(Smishing) - 문자 메시지(SMS)를 이용해 사용자 개인 신상 정보 탈취 2. 스피어 피싱 (Spear Phishing) - 사회 공학 기법 중 하나로 특정 대상 선정 후 그 대상에게 일반적인 이메일로 위장하여 메일을 지속적으로 발송 - 이후, 발송 메일의 본문 링크 or 첨부된 파일을 클릭하도록 유도해 사용자의 개인 정보 탈취하는 공격 3. 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s, 지능형 지속 위협) - 다양한 IT 기술과 방식들을 이용해 조직적으로 특정 기업 or 조직 네트워크에 침투해 활동 거점 만듬 - 이후, 때를 기달려 보안을 무력화 시키고, 정보 수집 후 외부로 빼돌리는 형태의 공격 4. 무작위 대입 공격 (Brute Force Attack) - 브루드 ..
2024.04.10 -
[백엔드] cs 지식2 - Spring 1편
1. Spring Framework? => Java 기반 오픈 소스 기반 Framework이며 경량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자바 객체를 담고 직접 관리를 하는 것 2. Spring Framework 특징 => 의존성 주입(DI), 경량 프레임워크, 제어의 역행(IoC), MVC 패턴,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OP)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3.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 각 계층 및 서비스들간 의존이 존재 할 경우 프레임워크와 서로 연결, 하나의 클래스에서 다른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생성자를 사용하여 의존성을 주입 시킨다. (controller에서 service 사용, service에서 mapper 사용의 예시) 4. 경량 프레임워크 => Java 객체를 직접 관리하며, ..
2023.12.03 -
[백엔드] cs 지식1 - 백엔드 기초
1. 백엔드 (Back-end) => 백엔드 개발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발생하는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불러오거나 저장하는 등의 서버 사이드 작업을 수행. 2. 서버 사이드 언어 => Python, Ruby, Java, PHP, .Net, Node.js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 서버 로직을 구성. 3.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MySQL, PostgreSQL, MongoDB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 수정, 삭제, 검색하는 것이 목표. 4. 서버 => Apache, Nginx, Microsoft IIS 등의 서버를 설정하고 관리. 5.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WSDL, REST, Grap..
2023.12.03 -
[프론트엔드] cs 지식6 - React 편(2)
1. Redux 사용해 본 적 있습니까? Redux를 적용사례의 대해 설명하세요. Redux는 새로 고침시 state 값을 새로 고침시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대부분은 로그인 유지 시 사용되는 편에 속하고요. 이것을 redux session 방식 혹은 redux local 방식으로 이용하여 state 값을 저장합니다. redux session은 javascript의 sessionStorage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브라우저 창이 닫을 시 state가 다시 초기화되는 상태를 말하고, localStorage는 서버를 내릴 때까지 지속적으로 state값이 유지되는 것을 뜻합니다. 2. useState()와 useEffect()의 대해서 설명하세요. useState()와 useEffect()는 리액..
2023.12.03 -
[프론트엔드] cs 지식5 - React 편
1. dom이란? => 문서 객체 모델이라고 불리우며, 문서의 구성 요소들을 객체로 구조화 하여 표현 한 것. 쉽게 설명하면 문서 전체에 html 태그를 tree dom으로 구성함 2. Virtual dom => Dom을 추상화한 가상의 객체, 즉 직접 dom을 접근하지 않고, 가상의 공간에서 dom을 사용하는 것. 즉, 직접 dom에 접근하지 않아 성능 향상에 개편됨 3. Virtual Dom 동작 원리 => DOM을 추상화 한 객체를 메모리에 저장고, 이는 Javascript 객체를 건드는 행위이기 때문에 변경 사항 발생 시 메모리 변경으로 처리 되기 때문에 즉시 반영된다. 이 과정은 재조정을 한다라고 표현한다. 4. 재조정이란? => Batch Update 방식으로 처리하여 변경 사항을 모든 Ele..
2023.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