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6)
-
[9] 네트워크 cs - 프로트콜 및 패킷 교환 방식, ARP/RARP
1. 프로토콜 (Protocal) - 서로 다른 기기들 간 데이터 교환을 원활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표준화 시켜 놓은 통신 규약 2.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 규정 - 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함 - 시간(Timing) : 두 기기 간 통신 속도, 메시지의 순서 제어 등 규정 3.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 - 메세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 - 종류 : 가상 회선 방식, 데이트 그램 방식 4. 가상 회선 방식 - 연결형 통신에 주로 설정 - 단말기 상호 간 논리적인 가상 통신 회선을..
2024.04.21 -
[7] 네트워크 cs - OSI 참조 모델
1. OSI 참조 모델 - 다른 시스템 간의 원할한 통신을 위해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Protocol) 2.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다양한 전송 매체를 통해 비트 스트림을 전송,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틍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 3.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물리적으로 연결 된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간 연결 설정과 유지 및 종료 담당 4.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망 계층) -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기능과 데이터의 교환 및 중계 기능 (경로 제어, 패킷 교환, 트래..
2024.04.21 -
[5] 네트워크 cs - IP 주소 관련 용어 및 개념
1.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와 MAC 주소의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 이를, 논리적 주소 --> 물리적 주소로 변경시킨다. (IP 주소 --> MAC 주소) 2.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의 역할의 역순으로, 물리적 주소에서 논리적 주소로 변환 시키는 프로토콜 (MAC 주소 --> IP 주소 변경) 3. 브로드캐스트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 방식 4. 유니케스트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1 데이터 전송 방식 5. Hop by Hop 통신 - IP 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 - 통신 장치에 있는 라우팅 테이..
2023.07.23 -
[4] 네트워크 cs - TCP/IP 4계층에 사용되는 각 종 기기
1. TCP/IP 4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기기 : L7 스위치 (1) L7 스위치 로드밸런서라고 불림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는 기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오는 요청등을 뒤쪽의 여러 서버로 나누는 역할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 증가를 목표 트래픽 분산 기법 : URL, 서버, 캐쉬, 쿠키 기반 바이러스 및 불필요한 외부 데이터 걸려내는 필터링 기능 가짐 응용 프로그램 수준의 트래픽 모니터링 가능 헬스 체크(Health Check)를 통해 장애 발생 서버 있으면 트래픽 분산 대상에서 제외 ALB(Application Load Balancer) 컴포넌트 기반으로 로드 밸러싱 가능 (AWS에서도 사용) (2) L4 vs L7 스위치 L4 역시 로드밸런서라고 불림 전송 계층 처리하는 기기 스트리밍 관련 서비..
2023.07.23 -
[2] 네트워크 cs - TCP/IP 모델
1.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의 집합 2. TCP/IP 4계층 4계층 : 애플리케이션 층 3계층 : 전송 계층 2계층 : 인터넷 계층 1계층 : 링크 계층 3. OSI 7계층 7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6계층 : 프레젠테이션 계층 5계층 : 세션 계층 4계층 : 전송 계층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1계층 : 물리 계층 4. TCP/IP 4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 : FTP, HTTP, SSH, SMTP, DNS 웹서비스, 이메일 등 서비스를 실질적으로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계층 5. TCP/IP 4계층 - 전송 계층 프로토콜 : TCP, UDP 송신자와 수신자를..
2023.07.23 -
[1] 네트워크 cs - 네트워크란?
1. 네트워크?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 ※ 노드 :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 ※ 링크 : 유선 or 무선을 의미 좋은 네트워크란? - 많은 처리량, 지연 시간 짧고 장애 빈도가 적음,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 2. 처리량(Throughput) 링크 내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처리량 = 트래픽) 단위 : bps(bits per second) - 초당 전송 or 수신되는 비트 수 영향 받는 요인 트래픽 : 사용자들이 많이 접속 (흐르는 데이터가 많아짐) 네트워크 장치간 대역폭(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네트워크 중간에 발생되는 에러 장치의 하드웨어 스팩 3. 지연시간(late..
2023.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