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4. 프로세스 관련 용어 및 특징들

2024. 2. 12. 16:43cs및 소프트스킬/운영체제

728x90
반응형
SMALL

1. Locality (국부성, 지역성, 구역성, 국소성)

- 프로세스 적제 정책의 대한 일종, 스레싱 방지를 위한 워킹 셋 이론의 기반
- 프로세스가 실행 되는 동안 주기억 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
- 종류 : 시간 구역성(Temporal Locality) / 공간 구역성(Spatial Locality)
  - 시간 구역성 : 프로세스가 실행 되면서 하나의 페이지를 일정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엑세스 하는 현상
  - 공간 구역성 : 프로세스 실행 시 일정 위치의 페이지를 집중적으로 액세스 하는 현상
 
 

2. 워킹 셋(Working Set)

-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
- 자주 참조되는 워킹 셋을 주기억 장치에 상주
   => 페이지 부재 / 페이지 교체 현상이 줄어듬, 프로세스의 기억장치 사용 안정시킴
 
 

3. 스래싱(Thrashing)

-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 <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 이 더 많아지는 현상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탬 or 가상기억장치 사용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수행 과정 중에 자주 페이지 부재(Page Fault)가 발생함으로써 나타남
   => 이는,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됨
 
 

4. 프로세스(Process)

- 실행 중인 프로그램
 
 

5. 프로세스(Process) 정의

- PCB 가진 프로그램
- 실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 프로세서가 할당되는 실체로서, 디스패치가 가능한 단위
- 프로시저가 활동중인 것
-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6. PCB(Process Control Block)

-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는 곳
 
 

7. PCB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 포인터
- 프로세스 고유 식별자
- CPU 레지스터 정보
- 주기억장치 관리 정보
- 입/출력 상태 정보
- 계정 정보
 
 
 

8. 프로세스 상태 전이

-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동안 프로세스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의미

 
(1) dispatch (디스패치)
   -> 준비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 중 하나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2) wake up 
   ->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어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에서 준비 상태로 전이 되는 과정
 
(3) spooling 
   -> 입/출력 장치의 공유 및 상대적으로 느린 입/출력장치의 처리 속도를 보완하고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 시키기 위해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 장치에 보내지 않고, 나중에 한꺼번에 입/출력하기 위해 디스크에 저장하는 과정
 
 

9. 스레드(Thread)

-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
- 프로세스의 일부 특성을 가지고 있음
   => 경량(Light Weight) 프로세스 라고 불림
 
 
 

728x90
반응형
LIST